Think Patients First
Eisai는 전문의약품에서 일반의약품에 이르기 까지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희망을 심어 주는 좋은약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한국에자이는 우리 모두의 건강한 삶을 위해 우수의약품 개발과 보급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자이는 우리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다양한 헬스케어 솔루션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Eisai는 전문의약품에서 일반의약품에 이르기 까지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인간에게 희망을 심어 주는 좋은약 만들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는 ‘한국에자이와 함께하는 뇌건강학교’(이하 뇌건강학교) 상반기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6일 밝혔다.한국에자이의 상반기 뇌건강학교는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와 협업해 전국 19개 노인복지관에서 진행됐다. 한국에자이의 인지기능 강화 솔루션에 기반해 총 5가지 영역(신체, 인지, 영양, 정서, 사회)으로 구성된 뇌건강학교는 12주차에 걸쳐 신체 기능 강화를 위한 우아댄스, 인지기능 강화를 위한 새미톡과 기억꼭 프로그램, 뇌건강도 체크를 위한 코그메이트 등으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했다.새미톡은 ▲기억력 ▲언어능력 ▲집중력 ▲계산능력 ▲시공간능력 ▲실행능력 향상할 수 있는 챗봇 기반 게임이다. 사용자는 수업 외에도 활용하며 인지기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한국에자이 측에 따르면 복지관은 입학식과 졸업식 때 진행한 ‘코그메이트 테스트’를 통해 이번 수업이 어르신들의 인지 건강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했다.코그메이트는 3개월 주기의 테스트를 통해 집중력, 기억력, 시각학습, 주의력, 반응속도 등을 종합 평가하는 디지털 기반의 뇌건강 측정도구로 편리하고 신속한 테스트 시간이 특징이다. 테스트 후 즉시 제공되는 결과 리포트를 통해 자신의 뇌 나이를 비롯해 집중력, 기억력 점수와 등급의 확인 가능하며 정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지속적인 뇌건강 관리가 가능하다.한국에자이 관계자는 “뇌건강도 체크 프로그램인 코그메이트는 총 261명이 참가했고, 사용자의 평균 연령은 76세로 확인됐다. 입학식 당일 진행한 1차 코그메이트 결과는 뇌나이 평균 82.6세, 집중력 평균 점수 15.83점, 기억력 평균 점수 17.27점이었으나 졸업식에서 진행한 2차 코그메이트 결과는 뇌나이가 81.8세로 감소하고 집중력과 기억력의 경우 각각 평균 점수 18.09, 18.61점으로 1차 결과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이어 “이와 함께 각 복지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뇌건강학교 프로그램 활용 종합 만족도 조사에서 만족한다는 응답이 90%(매우만족 58%, 만족 32%)를 차지하는 등 한국에자이와 함께 한 뇌건강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한국에자이는 이 같은 성과에 기반해 지속적으로 사업을 이어갈 계획으로, 7월 중순부터 뇌건강학교 하반기 프로그램에 참가할 복지관을 모집할 예정이다.팜뉴스 김응민 기자 yesmin@pharmnews.com
2023.07.26한국에자이는 지난 4월 21일 ‘HIA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초고령·치매 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한 혁신아카데미(hhc Driven Innovation Academy, 이하 HIA)를 운영한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인 한국에자이는 모든 사람의 건강한 삶을 목적으로 하는 헬스 케어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기업 철학인 사람 중심의 헬스 케어를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해 활동 중이며 최근 사회혁신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를 위해 나우사회혁신랩 및 기업사회혁신 부서를 설립하였으며, 나우(나를 있게 하는 우리)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온랩, 돌봄리빙랩네트워크 활동 등을 통해 시민사회와 함께하는 다양한 기업사회혁신 활동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날 'HIA 컨퍼런스’에서는 앞으로의 과정에 대한 소개와 함께 리빙랩을 통한 사회복지 문제해결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국내 리빙랩 연구 및 실천의 선구자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성지은 선임연구위원과, '선배시민'의 저자인 한국방송통신대 사회복지학과 유범상 교수가 강의로 함께했다. 이어서 한국리빙랩네트워크의 송위진 정책위원장을 좌장으로한, 참여자 토론이 진행되었다. ‘HIA’는 공감과 리빙랩 방법론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의료사회혁신가(Medico Societal Innovator) 양성 과정이다. 교육 제공뿐 아니라, 참여자들과 공동창출하게 될 솔루션이 실제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사례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IA’는 보건·돌봄 현장기반 문제해결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최종 사용자인 시민과 교육 참가자, 연구기관·대학·기업·병원의 연계를 만든다. 이러한 연계를 통해 초고령·치매 친화 사회를 위한 솔루션을 공동창출하고 실제 지역사회에서 실증·적용해보게 된다. 남녀노소 누구나 교육 참가자 'HIAro'가 되어 활동할 수 있다. 'HIAro'는 장애나 질병, 나이와 관계없이 누구나 나답게 최대치의 삶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로의 변화를 지향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이달 ‘HIA’ 교육에서는 지속가능한 인간중심 헬스케어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시스템 디자인, 비전 형성과 사례 공유, 당사자 공감, 방법론 실습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내달 5월부터는 사용자 중심의 문제해결 방법론인 리빙랩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솔루션을 공동창출하고 적용할 계획이다. 교육 참가자 'HIAro'에게는 개인 및 팀별 활동비와 함께 교통비, 학습비, 원고비 등의 다양한 지원이 제공된다. ‘HIA’를 기획한 한국에자이 나우사회혁신랩 서정주 소장은 "시민사회와 함께하는 기업사회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HIA는 조직화된 사용자그룹과 활동가들을 연결하고, 사회혁신 솔루션을 공동창출 해나갈 수 있도록 교육을 비롯한 제반사항을 지원-매개하는 지식창조형 혁신플랫폼을 지향한다"고 ‘HIA’에 대한 포부를 밝혔다. ‘HIA’의 공동 운영사인 협동조합 소이랩의 장종욱 대표는 "환자와 생활자를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아닌, 사회문제를 해결해나갈 주체로 인지하고 현장의 공감대를 확산하는 것이 목표"라며, 고령화 및 치매 친화적인 사회로의 변화에 큰 기대를 보였다. 파이낸셜뉴스 이대율기자 amosdy@fnnews.com
2023.04.24[라포르시안] 한국에자이(대표 고홍병)는 미국 FDA로부터 인증받은 툴 기반의 뇌 건강 측정 도구 ‘코그메이트’를 출시했다고 17일 밝혔다. ‘코그메이트’는 뇌 건강 자가 테스트가 가능한 디지털 도구(비 의료기기)로 특수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용자의 뇌 건강도를 측정한다. 한국에자이에 따르면 뇌 반응 속도, 주의력 , 시각 학습, 기억력 등 4가지 영역의 테스트를 진행하고, 테스트 후 결과 리포트를 통해 자신의 뇌 건강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결과 리포트에서는 뇌 나이, 등급, 뇌 건강도(BPI) 점수를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추이 파악도 할 수 있다. PC 외에도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테스트가 가능하며, 테스트 시간에는 약 15분 정도가 소요돼 접근성이 높다고 한국다케타제약 측은 설명했다. ‘코그메이트’는 에자이와 기술 계약을 체결한 ‘코그스테이트’가 만든 기술로,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승인받은 CBB(디지털 인지 검사)를 기반으로 한다. CBB는 정신 운동 기능, 주의력, 작업 및 시각 학습 기억 등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디지털 인지검사 도구이다. 전 세계 55개국 이상에서 사용되며,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등지에서는 ‘Cognigram’이라는 이름의 의료기기로 의료 전문가를 위한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 검사와 진단에 활용되고 있다. 한국에자이 코그메이트 관계자는 “코그메이트 출시가 뇌 건강도 테스트를 통한 뇌 건강 관리 인식과 중요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며 “코그메이트는 정기적인 테스트를 통해 뇌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인지 기능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손 쉬운 뇌 건강 관리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라고 말했다. 이어 “코그메이트 활용 및 유관 기업·단체와의 활발한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액티브 시니어의 뇌 건강 및 인지 건강 관리에 기여하는 헬스케어 에코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손의식 기자 pressmd@rapportian.com
2023.04.17